티스토리 뷰
단일사례설계: 효과적인 개입 평가 방법 (AB, ABAB, ABCD 조사 비교)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일사례설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정 개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특히 사회복지, 교육,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여러 가지 평가 방법 중에서도 AB 조사, ABAB 조사, ABCD 조사와 같은 방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각 방법의 특징과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단일사례설계란 무엇일까요?
단일사례설계는 한 명의 대상(개인, 집단, 기관 등)에게 적용된 개입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달리, 개별 사례의 변화 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개입의 효과를 입증합니다.
단일사례설계의 주요 유형
단일사례설계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B 조사: 기초선과 개입의 비교
ABAB 조사: 반복적 개입의 효과 평가
ABCD 조사: 다양한 조건에서의 평가
시간 시퀀스 설계: 특정 기간 동안 기초선과 개입을 반복적으로 적용
단일 사례 반복 설계: 동일한 사례에 대해 여러 번 개입 시행
혼합 설계: 여러 가지 단일사례설계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이제 각 유형별 특징과 활용 예시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AB 조사: 기초선(A)과 개입(B)의 단순 비교
AB 조사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개입 전의 상태(기초선, A)와 개입 후의 상태(B)를 비교하여 효과를 평가합니다.
A (기초선): 개입을 시작하기 전, 문제 행동이나 상태를 일정 기간 동안 측정합니다. 이 기간 동안에는 어떠한 개입도 하지 않습니다.
B (개입): 설정한 개입을 시작하고, 문제 행동이나 상태를 지속적으로 측정합니다.
예시: 학생의 수업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학습 전략을 적용했을 때, 학습 전략 적용 전(A)과 적용 후(B)의 집중도 변화를 비교합니다.
2. ABAB 조사: 개입 효과의 확실한 검증
ABAB 조사는 AB 조사를 확장하여, 개입(B)과 기초선(A)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개입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검증하는 방법입니다.
A (기초선): 개입 전 상태 측정
B (개입): 개입 적용 후 상태 측정
A (기초선): 개입 중단 후 상태 측정 (개입 효과 소멸 여부 확인)
B (개입): 다시 개입 적용 후 상태 측정 (개입 효과 재확인)
예시: ADHD 아동의 과잉 행동을 줄이기 위해 특정 행동 수정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프로그램 적용 - 중단 - 재적용 과정을 거치면서 과잉 행동 감소 효과를 반복적으로 확인합니다.
3. ABCD 조사: 다양한 개입 방법 비교
ABCD 조사는 여러 종류의 개입 방법을 동시에 비교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A (기초선): 개입 전 상태 측정
B, C, D (개입): 각각 다른 개입 방법을 적용하고 효과를 측정
예시: 우울증 환자의 증상 완화를 위해 상담 치료(B), 약물 치료(C), 운동 요법(D)을 각각 적용하고, 각 치료 방법의 효과를 비교합니다.
주의! CAC 조사는 단일사례설계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CAC 조사는 다른 연구 디자인에서 활용되는 방법으로, 단일사례설계의 목적과는 맞지 않습니다. 단일사례설계에서는 AB, ABAB, ABCD 조사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결론: 효과적인 개입 평가를 위한 선택, 단일사례설계
단일사례설계는 개별 사례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개입 효과를 입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AB, ABAB, ABCD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여러분의 연구와 실천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시길 바랍니다.